카테고리 없음

게임기획 전문가가 되는 현실적인 로드맵과 수익 구조

Eun-A 2025. 6. 14. 14:43

게임산업의 핵심 설계자, 게임기획자가 되기 위한 전략 공개

직무 이해부터 포트폴리오, 연봉, 수익화까지 완벽 가이드

게임기획자가 되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


게임기획은 단순히 아이디어만 구상하는 직무가 아닙니다.
스토리, 시스템, 밸런스, UX 등 전체 게임 설계의 핵심을 맡는
고난도 기획 전문 직군으로, 체계적인 준비와 훈련이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게임기획 전문가가 되기 위한 진입 경로부터
수익 구조, 실무 능력 강화 전략까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


게임기획 직무, 정확히 무엇을 하나요?

게임기획자는 게임의 ‘설계도’를 만드는 사람입니다.
캐릭터 능력치, 성장 구조, 퀘스트 분기, 사용자 경험까지
모든 요소의 논리 구조와 상호작용을 구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개발자나 디자이너가 ‘어떻게 만들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무엇을 만들지’를 정의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논리적 사고력과 유저 시뮬레이션 능력입니다.
단순히 재밌는 게임 아이디어를 내는 것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게임기획자가 되기 위한 실질적인 진입 경로

관련 학과(게임학, 컴퓨터공학, 콘텐츠디자인 등)를 졸업하거나
비전공자의 경우, 포트폴리오 중심의 실무 능력을 증명해야 합니다.
게임회사 인턴, QA 직군, 운영 직군에서 시작해
기획자로 수평 이동하는 루트도 일반적입니다.

"포트폴리오만 잘 준비해도 신입 채용은 열려 있습니다"
비공개 프로젝트라도, 완성도 있는 기획서 2~3개가 핵심입니다.

준비 항목 필요 수준 추천 도구
기획서 작성 파워포인트, 구글독스
게임 분석 엑셀, 피그마
포트폴리오 Notion, GitHub

연봉과 수익 구조, 실무자는 얼마나 벌까?

게임기획자의 평균 연봉은 신입 기준 3,000만원~3,800만원 수준이며
경력 5년차 이상부터 5,000만원 이상으로 상승합니다.
퍼블리셔나 대형 게임사일수록 보상이 크며
성과보너스, 인센티브 구조도 차이가 큽니다.

특히 수석급 기획자는 프로젝트당 1억 원 이상의 연봉을 받기도 하며
해외 수출 프로젝트에 참여 시 로열티 수익을 가져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이렇게 구성해야 합격률이 높아집니다

좋은 포트폴리오는 ‘게임을 만든’ 경험보다
‘게임을 설계한 이유와 분석’이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스킬트리, 전투 시스템, 튜토리얼 구성 등을 설계하고
그 안에 어떤 사용자 경험을 설계했는지를 논리적으로 풀어야 합니다.

스토리 기반보다는 시스템 기반 기획서가 더욱 효과적입니다.

구성 항목 설명
게임 분석서 기존 게임의 문제점과 개선안 제안
시스템 기획 수치/밸런스 설계, 시나리오 분기도
인터랙션 플로우 UX Flow, 사용자 리텐션 설계

실무 능력 강화, 어떤 훈련이 효과적인가요?

게임 분석, 숫자 설계 훈련, UX 기획 능력 개발이 핵심입니다.
특히 밸런스 조정 능력을 위해 Excel 훈련이 필요하며
UI 플로우 설계는 피그마, UX맵 설계는 미로(Miro) 등을 활용합니다.

가능하다면 미니 게임이나 RPG툴로 직접 기획을 구현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단순히 문서로 끝나지 않고 실제 인터랙션을 유도해야 경쟁력이 생깁니다.


인디 게임, 프리랜서 기획자도 가능할까?

가능합니다. 실제로 Unity, Unreal 기반 인디게임 개발팀에서
프리랜서 기획자를 모집하는 사례가 점점 늘고 있습니다.
특히 시스템 기획 능력과 UX설계 능력이 뛰어난 기획자는
파트타임 계약을 기반으로 월 300~500만원까지 수익을 얻고 있습니다.

디스코드, 트위터 기반 게임 개발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며
포트폴리오를 공유하고 협업 경험을 쌓는 것도 유리합니다.


해외 취업, 한국인 게임기획자도 가능할까?

영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포트폴리오가 준비되어 있다면
동남아, 유럽, 북미 등의 인디 게임사 또는 중소 퍼블리셔 취업이 가능합니다.
특히 시스템 기획, 전투 설계, 게임 밸런싱 역량
언어와 무관하게 평가되기 때문에 기술 중심 포트폴리오가 중요합니다.

"말보다는 기능과 설계 능력이 통합니다"
해외에서는 문서 작성보다 ‘디자인 문법’의 일관성이 더 중요합니다.


AI 시대의 게임기획자, 살아남을 수 있을까?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일부 수치 설계, 테스트 기능은 자동화되지만
사용자 감성과 UX 흐름을 읽어내는 기획자의 수요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GPT 기반 게임 시나리오 설계, 동적 튜토리얼 설계 분야에서
기획자의 전략적 역할은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AI를 도구로 활용할 줄 아는 기획자는 생존이 아닌 주도권을 가지게 됩니다.